안드로이드를 개발하다 보면 에러도 없고 코드도 문제없는 것 같은데, 갑자기 빌드가 안되는 상황을 겪게 되는 경우가 있다.
Gradle 로그에도 눈에 띄는 에러가 없고, 재시작을 해봐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정말 당황스럽다.
오늘은 내가 실제로 겪었던 이슈를 기준으로, "에러 없이 빌드가 안될 때" 유용했던 3가지 해결 팁을 소개한다.
1. 빌드 리프레시 (Build → Clean Project / Rebuild Project)
가장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이다.
✅ 방법
- Build > Clean Project
- Build > Rebuild Project
이렇게 하면 Gradle이 다시 깨끗하게 프로젝트를 빌드하려고 시도하면서 이전의 빌드 아티팩트들을 제거해준다.
✅ 효과적인 상황
- 모듈 간 변경이 꼬였을 때
- 리소스가 변경됐는데 반영되지 않을 때
- gradle 캐시가 꼬여서 이상한 로그가 나올 때
💡 Tip: Clean → Rebuild 순서로 해주는 게 좋다.
2. 캐시 삭제 (Invalidate Caches / Restart)
빌드 캐시나 인덱스 정보가 꼬이면, Android Studio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방법
- File > Invalidate Caches / Restart... 클릭
- 팝업에서 Invalidate and Restart 선택
이렇게 하면 Android Studio가 가지고 있던 내부 캐시들을 전부 삭제하고, 깨끗하게 재시작된다.
✅ 효과적인 상황
- 아무리 코드를 수정해도 똑같은 빌드 실패가 날 때
- 에디터에서 갑자기 빨간줄이 늘어나는데 실제론 문제 없을 때
- 컴파일은 되는데 앱 실행이 안 될 때
⚠️주의: 캐시 삭제는 시간이 꽤 걸릴 수 있다.
3. 에뮬레이터 데이터 초기화 (Wipe Data)
가끔은 빌드 문제라기보다 에뮬레이터 자체 문제일 수도 있다.
특히 앱이 실행되자마자 튕기거나, 이전 빌드의 찌꺼기가 남아 있는 느낌이 들 때 유용하다.
✅ 방법
- Android Studio에서 Device Manager 열기
- 사용 중인 에뮬레이터 오른쪽에 있는 ... 클릭
- Wipe Data 선택 후 확인
또는 cold boot로 강제 재부팅해도 도움이 된다.
✅ 효과적인 상황
- 앱이 설치는 되는데 실행이 안 될 때
- 이전 버전 데이터가 앱 실행에 영향을 줄 때
💡 실제 기기에서도 앱을 삭제했다가 다시 설치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마무리
빌드가 안되는데 로그에는 아무 문제도 안 뜨는 상황, 정말 짜증나고 당황스럽다.
하지만 위 3가지를 하나씩 차근히 해보면 대부분 해결된다.
- ✅ 빌드 리프레시
- ✅ 캐시 삭제
- ✅ 에뮬레이터 데이터 초기화
이 3가지는 꼭 기억해두자!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 내장 DB 룸에 대하여 (0) | 2025.07.01 |
---|---|
[Android] - 라이브러리 없이 캔들 차트를 구현해보자!! (0) | 2025.04.29 |
[Android] - Hilt? 의존성 주입? 제대로 알고 쓰고 있어?? (1) | 2025.04.26 |
[Android] - dependency api에 관하여.... (0) | 2025.04.15 |
[Android] - OkHttp VS Retrofit (0) | 2025.04.01 |